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직업상담사 > 국가자격증



직업상담사

상품간략정보

직업상담사

직업상담원이 수행하는 업무는 상담업무, 직업소개업무, 직업관련 검사실시 및 해석업 무,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업무, 직업상담행정업무 등으로 구별 지을 수 있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구매기능

개인정보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 동의 비동의 개인정보 취급 위탁에 관한 동의 동의 비동의
귀하는 상기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동의하지 않으실 경우는 관련 상품, 서비스 소개 및 판매에 대한 상담신청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
  • 상품 정보

    상품 정보 고시

    상품 상세설명

    개요

    직업상담원이 수행하는 업무는 상담업무, 직업소개업무, 직업관련 검사실시 및 해석업 무,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업무, 직업상담행정업무 등으로 구별 지을 수 있다. 주요 상담업무에는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노동관계법규 등 노동시장에서 발생되는 직업 과 관련된 법적인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일반상담 실시와 구인·구직상담, 창업상담, 경력개발상담, 직업 적응상담, 직업전환상담, 은퇴후 상담 등의 각종 직업상담이 있다. 직업상담원은 구직자들이 그들의 교육, 경력, 기술, 자격증, 구직직종, 원하는 임금 등 을 포함한 구직표를 정확하게 작성하도록 도와주며 구직표를 제출하면 정확하게 되었는 지를 검토하며 필요하면 수정을 한다. 직업상담원은 구직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이 무엇인지를 찾는데 도와주며 적성, 흥미 검사 등을 실시하여 구직자의 적성과 흥미에 알맞은 직업정보를 제공하고 청소년, 여 성, 중·고령자, 실업자 등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한다. 그리고 취 업 이 곤란한 구직자(장애자, 고령자)에게 보다 많은 취업기회를 제공하고 구인난을 겪 고 있는 기업에게 다양한 인력을 소개하기 위하여 구인처 및 구직자를 개척하기도 한다.


    수행직무

    노동시장, 신직업, 직업상담정책 등의 관련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내담자의 직업논점 진단, 역량분석, 직업상담,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하고, 직업상담 행정을 수행하는 직무이다.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노동부 지방노동관서, 고용안정센터, 인력은행 등 전국 19개 국립직업 안정기관과 전 국 281개 시.군.구 소재 공공직업안정기관 및 민간 유·무료직업소개소 및 24개 국외 유료직업소개소 등의 직업상담원에 취업이 가능함. 노동부 지방노동관서 등 직업소개 기관 직업상담원 채용시 직업상담사 자격소지자에게 우대할 예정임.


    종목별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4 15,513 9,099 58.70% 11,951 5,630 47.10%
    2023 16,060 9,440 58.80% 11,479 5,187 45.20%
    2022 18,059 8,778 48.60% 13,011 4,937 37.90%
    2021 24,155 13,364 55.30% 16,135 7,731 47.90%
    2020 19,074 11,827 62% 15,701 7,241 46.10%
    2019 22,283 11,690 52.50% 15,119 6,648 44%
    2018 23,328 12,235 52.40% 14,504 6,955 48%
    2017 19,484 9,517 48.80% 12,653 5,227 41.30%
    2016 20,516 10,289 50.20% 13,762 5,313 38.60%
    2015 19,595 10,221 52.20% 14,114 5,039 35.70%
    2014 21,381 11,223 52.50% 15,152 4,011 26.50%
    2013 21,202 9,991 47.10% 14,758 3,872 26.20%
    2012 21,876 8,747 40% 14,047 2,403 17.10%
    2011 24,676 11,653 47.20% 16,653 4,026 24.20%
    2010 25,565 11,927 46.70% 16,083 4,442 27.60%
    2009 12,540 6,247 49.80% 7,396 1,774 24%
    2008 6,461 2,886 44.70% 3,731 782 21%
    2007 5,383 2,174 40.40% 2,439 165 6.80%
    2006 3,132 1,407 44.90% 1,583 725 45.80%
    2005 1,395 386 27.70% 574 282 49.10%
    2004 770 231 30% 547 120 21.90%
    2003 1,159 535 46.20% 679 100 14.70%
    2002 1,271 416 32.70% 928 203 21.90%
    2001 2,357 754 32% 1,803 335 18.60%
    2000 27,125 6,605 24.40% 8,272 2,241 27.10%
    소 계 374,360 181,642 48.50% 243,074 85,389 35.10%


    b7364fb714f5ea6231d029e4bca7a41a_1763516759_1695.jpg